검색결과 리스트
리눅스에 해당되는 글 62건
- 2011.10.12 센토스 379페이지 오류
- 2011.10.12 리눅스 vi 명령어 1
- 2011.04.16 윈도우 인터넷 식별중으로 뜰때
- 2011.04.06 floppy disk fail 오류
- 2011.04.06 컴퓨터에서 Linux를 제거하고 Windows XP를 설치
- 2011.03.12 보이지 않았던 존파일 ns.lug.or.kr.zone~
- 2011.03.12 질의 네임서버 변경 문제
- 2011.03.11 리눅스 커널 컴파일 오류
- 2011.03.10 리눅스 한영키
- 2011.03.10 리눅스 root 사용자 허가 거부
글
센토스 379페이지 오류
찾아보니...
/var/named/chroot/var/named/data/named.run 요깅네?...?
tail /var/named/chroot/var/named/data/named.run 책도 어려운데 중간에 이런부분 있으니 너무 짜증....
'리눅스 > 문제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figure: error: libjpeg.(a|so) not found. 에러 발생시> (2) | 2012.01.13 |
---|---|
리눅스 파일질라 ftp 연결되는데 리스트 목록 조회 실패 할때 (0) | 2011.10.17 |
윈도우 인터넷 식별중으로 뜰때 (0) | 2011.04.16 |
floppy disk fail 오류 (0) | 2011.04.06 |
컴퓨터에서 Linux를 제거하고 Windows XP를 설치 (0) | 2011.04.06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리눅스 vi 명령어
[vi 명령어]
- 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
a 현재커서의 뒤에 입력
i 현재커서의 앞에 입력
A 현재 작업줄의 가장 마지막에 글자입력
I 현재 작업줄의 가장 처음에 글자입력
- 커서의 이동
h 왼쪽으로 이동
l 오른쪽으로 이동
j 아래로 이동
k 위로 이동
$ 그줄의 가장 마지막으로 이동
^ 그줄의 가장 처음으로 이동
H 화면의 가장 위로 이동
L 화면의 가장 아래로 이동
} 다음단락으로 이동
{ 이전단락으로 이동
:n n번째 줄로 이동
- 페이지의 이동
Ctrl + f 아래화면으로 페이지 이동
Ctrl + b 위의 화면으로 페이지 이동
G 파일의 제일 마지막으로 이동
gg 파일의 가장 처음으로 이동
80G 파일의 80번째 줄로 이동
- 복사, 붙여넣기
yy 한 줄 복사하기
15yy 15줄 복사하기
y0 현재커서가 위치한 곳 부터 그 줄의 가장 처음까지 메모리에 저장한다.
y$ 현재커서가 위치한 곳 부터 그 줄의 가장 마지막까지 메모리에 저장한다.
p 현재 커서의 아래줄에 붙여넣기
P 현재 커서가 있는 줄에 붙여넣기
dw 한 줄 잘라내기
15dw 15줄 잘나내기
- 지우기
x 한 문자만 지우기
dw 한 단어 삭제
dd 한 줄 지우기
d$ 현재커서가 위치한 곳 부터 그 줄의 마지막까지 삭제
15dd 15줄 지우기
- 수정하기
r 한 문자만 변경
R Replace
- 검색
/찾을문자열입력
다음단어를 찾고 싶다면 n
이전검색단어로 이동하고 싶다면 N
:%s/orange/apple 문서내의 모든 orange를 apple로 변경함
:100.200s/orange/apple 100~200번째 줄사이의 orange를 apple로 변경함
- vi 편집기 종료
:q 변경된 내용이 없을경우 그대로 종료
:q!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기 않고 강제로 종료
:wq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하기
:w 변경된 내용을 저장하기
:x :wq 와 동일한 명령
- vi 편집기 환경설정
:set nu 줄번호 보이기
:set nonu 줄번호 감추기
:set ts=4 Tab 키의 공백 넓이를 지정(기본값:8)
:set paste 작업 중 vi에 붙여넣기시 계단현상 발생 방지
- .exrc 파일
vi 편집기 실행시 .exrc파일이 있다면 이 파일을 내용으로 편집기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root의 경우 /root/.exrc파일을 만들면 되고, 계정사용자의 경우 /home/[게정]/.exrc
파일을 만들어주면 된다.
[기본명령어]
cd "디렉토리명" 디렉토리를 변경할때 사용함
~ 자신의 홈디렉토리로 이동
- 바로 전의 디렉토리로 이동
.. 바로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hown "소유권자" "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
chgrp "소유권자" "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
소유권자 또는 소유그룹을 변경한다.
둘다 동시에 변경시에는 소유자와 소유권자 사이에 점(.)을 사용한다.
-R 하위디렉토리 및 파일들의 소유권을 모두 변경
chmod 퍼미션 "파일명 또는 디렉토리명"
-R 하위디렉토리 및 파일들의 소유권을 모두 변경
cp [옵션] "원본파일명" "복사할 디렉토리"
-p 원본파일의 소유권 등의 정보를 그대로 복사
-r 서브디렉토리 안의 모든 파일까지 전부복사
date [옵션] [+포맷]
(아래의 괄호는 2003년 05월 09일 16시 02분 07초를 기준의 예)
%a 요일(금)
%A 요일(금요일)
%b 월(5월)
%B 월(오월)
%c 날짜와 시간(2003년 05월 09일 (금) 오후 04시 02분 07초)
%d 그 달의 날짜(09)
%D 날짜(05/09/03)
%e 그달의 날짜(9)
%H 시간(16)
%I 시간(04)
%j 1월1일부터 지나온 날짜의 수(129)
%k 시간(16)
%l 시간(4)
%m 달(05)
%M 분(02)
%p 오전 오후 (오후)
%r 12시간 단위의 시간(오후 04시 02분 07초)
%s 1970년 1월1일부터 지나온 초(1053621217)
%S 초(07)
%T 24시간 단위의 시간
%U 일요일을 기준으로 한 그해의 몇번째 주인가를 표시(20)
%V 월요일을 기준으로 한 그해의 몇번째 주인가를 표시(21)
%w 일주일에서 몇 번째 날, 일요일이 0, 토요일이 6 (5)
%x 전체날짜(2003년 05월 09일)
%X 전체시간(16시 02분 07초)
%y 년도의 마지막 두 자리(03)
%Y 년도(2003)
find "디렉토리명" [옵션] "파일명"
-name <패턴> 패턴형식으로 되어있는파일
-amin n n분전에 최종 접근된 파일
-atime n n day 전에 최종 접근된 파일
-cmin n n분전에 마지막으로 변경된 파일
-ctime n n day전에 마지막으로 변경된 파일
ls [옵션] 파일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a, --all 디렉토리 내에 있는 모든 파일 보기
-c 파일을 최근 변경 시간으로 정렬하여 보기
-i 파일의 inode값 보이기
-l 퍼미션, 크기, 사이즈 등의 자세한 정보 보기
-t 최근 파일부터 정렬하여 출력
mkdir "디렉토리명", rmdir "디렉토리명"
-p 하위디렉토리까지 한번에 생성하거나 삭제
mv [옵션] "원본파일명", "대상 디렉토리 혹은 파일명"
-f 대상파일이 있을경우 강제로 덮어쓴다.
pwd 현재위치한 디렉토리를 표시해준다.
rm [옵션] "파일명"
-r 하위디렉토리 및 파일들을 모두 삭제
-f 삭제할 것을 다시 묻지않고 강제로 삭제
split [옵션] "분할할 파일명" "생성될 파일명"
-b 파일을 byte 단위로 분할
-l 파일을 주어진 라인수 단위로 분할
touch "파일명" 새로운 파일을 만들때 사용한다.
최종 수정일을 변경할 때도 사용한다.
wc [옵션] "파일명"
파일내의 라인, 단어, 문자수를 출력한다.
-c 전체 문자의 수를 출력
-l 전체 라인의 수를 출력
-w 전체 철자의 수를 출력
[시스템 관련 명령어]
chkconfig --list "데몬이름"
chkconfig --level "런레벨 번호" "데몬이름" <on|off>
리눅스를 부팅할 때, 자동으로 데몬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사용
df [옵션]
하드디스크의 각 퍼미션당 전체용량과 사용중인 용량, 사용가능한 용량을 확인할때 사용
i inode로 디스크의 정보를 출력
k 킬로바이트 단위로 출력
m 메가바이트 단위로 출력
h 파일을 보기 쉬운 용량으로 출력
T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출력
du [옵션]
'disk use'라는 의미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드의 사용량을 나타낸다.
옵션뒤에 원하는 디렉토리를 넣지 않으면 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출력한다.
k 킬로바이트 단위로 출력
m 메가바이트 단위로 출력
h 파일을 보기 쉬운 용량으로 출력
s 해당 디렉토리의 하위 디렉토리까지 합계로 출력
finger, who, w
현재 리눅스에 누가 접속했는지 출력해 준다.
id [옵션]
주어진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kill -{신호번호} PID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
-l 시그널로 사용할 수 있는 시그널 목록을 보여준다.
-1 프로세스를 재실행한다.
-9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한다.
ps [옵션]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알아볼때 사용하는 명령어
a 다른사용자의 프로세스까지 출력
u 프로세스를 실행시킨 유저와 그 시간을 출력
x 터미널의 제어없이 프로세스의 상태를 출력
l 상세 정보 출력
sleep "숫자"
주어진 시간만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
top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의 cpu 사용량이나 memory사용량을 보여주며
5초 단위로 시스템 상태와 프로세스의 상태를 갱신해서 실시간으로 화면에 보여준다.
Space 화면을 갱신한다.
h 도움말을 보여준다.
r Nice값을 변경한다.
s 화면을 갱신하는 시간(초단위)을 변경(기본값 : 5초)
M 프로세스를 실제 메모리 사용량(RSS) 순서로 정렬
P 프로세스를 cpu 사용량으로 정렬(기본값)
q top을 종료한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apach,php,mysql 다운 설명 (1) | 2011.12.30 |
---|---|
리눅스 ftp 설정 proftpd.1.3.tar.gz파일 (0) | 2011.12.30 |
보이지 않았던 존파일 ns.lug.or.kr.zone~ (0) | 2011.03.12 |
리눅스 커널 컴파일 오류 (0) | 2011.03.11 |
리눅스 한영키 (0) | 2011.03.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윈도우 인터넷 식별중으로 뜰때
1. 관리자 권한으로 CMD 실행
2. ipconfig /all 을 입력
3. 이더넷 어댑터 로컬 영역 연결의 물리적 주소와 IPV4 주소를 확인
4. netsh -c "interface ipv4" 를 입력 후 엔터
5. set neighbors “로컬 영역 연결” IPv4주소 물리적 주소 를 입력하고 엔터
예) set neighbors “로컬 영역 연결” 123.234.0.1 00-11-E3-S1-9Q-0P
'리눅스 > 문제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파일질라 ftp 연결되는데 리스트 목록 조회 실패 할때 (0) | 2011.10.17 |
---|---|
센토스 379페이지 오류 (0) | 2011.10.12 |
floppy disk fail 오류 (0) | 2011.04.06 |
컴퓨터에서 Linux를 제거하고 Windows XP를 설치 (0) | 2011.04.06 |
질의 네임서버 변경 문제 (0) | 2011.03.1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floppy disk fail 오류
말 그대로 플로피디스크가 없어서 나는 오류다 솔직히 요즘 플로피 디스크 있는 컴퓨터가 있을라나...
있으면 유물이겠지 ㅡㅡ....
del 누르고 bios 들어가서 first에 floppy이 되어 있을 것이다
이걸 cd-rom이나 hard-disk로 수정하면 끝
'리눅스 > 문제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센토스 379페이지 오류 (0) | 2011.10.12 |
---|---|
윈도우 인터넷 식별중으로 뜰때 (0) | 2011.04.16 |
컴퓨터에서 Linux를 제거하고 Windows XP를 설치 (0) | 2011.04.06 |
질의 네임서버 변경 문제 (0) | 2011.03.12 |
리눅스 부팅 에러(haga) (0) | 2011.03.02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컴퓨터에서 Linux를 제거하고 Windows XP를 설치
그냥 dle키 막눌러서 바이오스 들어가서 첫번째 디스크 cd-rom으로 한뒤
xp 시디 넣고 부팅하면 됩니다 -_-
아 근대 내껀 1번 cd-rom했는되도 안되서 1,2 번 둘다 cd-rom하고 3번째껄 하드디스크 하니깐
인식함 ㅡㅡ.... 와 이거 때문에 거의 하루 날렷어 싀발....
'리눅스 > 문제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인터넷 식별중으로 뜰때 (0) | 2011.04.16 |
---|---|
floppy disk fail 오류 (0) | 2011.04.06 |
질의 네임서버 변경 문제 (0) | 2011.03.12 |
리눅스 부팅 에러(haga) (0) | 2011.03.02 |
리눅스 인터넷, 원격 (0) | 2011.03.01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보이지 않았던 존파일 ns.lug.or.kr.zone~
cd /var/named
ls -l 해도 파일은 뜨는데 보이지가 않음 ㅋㅋ
cat /var/named/ns.lug.or.kr.zone~
보이네.... 근데 데스크탑 모드로 들가면 파일이 왜 안보이는지 ㅡㅡ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ftp 설정 proftpd.1.3.tar.gz파일 (0) | 2011.12.30 |
---|---|
리눅스 vi 명령어 (1) | 2011.10.12 |
리눅스 커널 컴파일 오류 (0) | 2011.03.11 |
리눅스 한영키 (0) | 2011.03.10 |
리눅스 root 사용자 허가 거부 (0) | 2011.03.10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질의 네임서버 변경 문제
>server ns.linux.lug.or.kr
서버를 찾을 수 없다고 나온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linux.lug.or.kr 검색 결과
sever ns58.dnserver.com 하면 주소가 뜬다
이게 맞는지는 잘 모르겟다 ㅡㅡ....
'리눅스 > 문제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oppy disk fail 오류 (0) | 2011.04.06 |
---|---|
컴퓨터에서 Linux를 제거하고 Windows XP를 설치 (0) | 2011.04.06 |
리눅스 부팅 에러(haga) (0) | 2011.03.02 |
리눅스 인터넷, 원격 (0) | 2011.03.01 |
리눅스 원격이 안되.... (0) | 2011.02.2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리눅스 커널 컴파일 오류
디렉토리를 못없음 ? 규칙이 없다 ? 이렇게 대충 뜹니다....
www.kernelorg.org 들어가셔서 최신버전 확인하시고 다운 받아서 해보세요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vi 명령어 (1) | 2011.10.12 |
---|---|
보이지 않았던 존파일 ns.lug.or.kr.zone~ (0) | 2011.03.12 |
리눅스 한영키 (0) | 2011.03.10 |
리눅스 root 사용자 허가 거부 (0) | 2011.03.10 |
리눅스 xming 원격 (2) | 2011.03.04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리눅스 한영키
리눅스의 한글 입력기는 SCIM을 채택하였다.
이 입력기는 한글 변환시 Ctrl + Space 버튼을 기본 설정으로 하여 리눅스 사용자가 혼란을 가진다.
그리고 한/영 키가 바로 변환하지 않아서 상당히 불편하다.
이방법을 해결해 보기로 하자.
일단 루트로 접속한후
setkeycodes 명령을 통해 한영 키와 한자 키를 등록한다.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06키의
경우 한자 키와 한영 키에 사용되는 스캔 코드는 각각 71,72로 이키를 122,123으로 등록한다.
노트북과 같이 자판 배열이 일반과 다를 경우에는 스캔 코드가 다르므로 모델에 맞는 값을 입력 해야 한다.
setkeycodes 71 122
setkeycodes 72 123
showkey로 등록이 제대로 됐는지 확인해 보자
한자 , 한/영키를 확인해 보자~~
이제 부팅이 다시 될 시에도 적용하기 위해
/etc/rc.d/rc.local 에 위에 두코드를 입력하고
X 윈도우로 들어 간다.
그 다음 X윈도우에서 키값을 받는 프로그램인
xev를 실행 시켜 한자, 한/영 키코드를 찾고
vi /etc/X11/Xmodmap 에
다음과 같이 이름을 등록하자
keycode 209 = Hangul_Hanja
keycode 210 = Hangul
위와 같이 추가 하고
xmodmap /etc/X11/Xmodmap
다음과 같이 입력하여 재시작 하자
그런다음 SCIM설정에서 키코드 찾기를 누르고 한/영 키를 누르면 키가 등록되어 이제부터는
한글키로 한/영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이지 않았던 존파일 ns.lug.or.kr.zone~ (0) | 2011.03.12 |
---|---|
리눅스 커널 컴파일 오류 (0) | 2011.03.11 |
리눅스 root 사용자 허가 거부 (0) | 2011.03.10 |
리눅스 xming 원격 (2) | 2011.03.04 |
리눅스 커널 모듈 생성 (0) | 2011.03.03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리눅스 root 사용자 허가 거부
실행권한 설정을 안해서 그런 것입니다. 아래처럼 시도해보세요.
root#> chmod 755 실행파일.sh [enter]
root#> ./실행파일.sh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커널 컴파일 오류 (0) | 2011.03.11 |
---|---|
리눅스 한영키 (0) | 2011.03.10 |
리눅스 xming 원격 (2) | 2011.03.04 |
리눅스 커널 모듈 생성 (0) | 2011.03.03 |
리눅스 열려있는 포트 검색 (0) | 2011.03.03 |